고산고등학교 로고이미지

자유게시판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인디고잉> 68호 발행되었습니다.!
작성자 인디고서원 등록일 20.09.19 조회수 132
첨부파일

청소년들이 직접 만드는 인문교양지

인디고잉 68(2020년 가을)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정의로운 선택

 

단순히 한국 교육을 비판하고, 시험이 없기를, 경쟁이 없기를 바라는 것은

아무 쓸모가 없는 가정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나는 왜 경쟁 교육을 견디고 있는지,

왜 어떤 사람들은 죽을 만큼 괴롭고 또 어떤 사람들은 괜찮은지,

그리고 우리가 앞으로 어떤 선택을 할 것인지 깊게 파고든다면,

경쟁이 없다면 우리는 어떤 모습일까?”의 질문에

더 간절하고 절실한 대답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여러분은 어떤 대한민국 청소년입니까?”

 

지속가능성은 우리 시대에 가장 중요한 화두가 되었습니다. 전염병, 기후위기, 소득 불평등, 난민. 헤아리기도 어려울 만큼 다양한 문제들이 인간은 물론이고 다른 생명종과 지구의 존재에도 위협을 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오직 발전과 성장, 개발과 인간 중심의 이야기로 가득 채워왔던 인간은 이제 변화를 과감히 시도해야 하는 운명 앞에 서 있습니다.

인디고 서원이 개최한 ‘2020 인디고 유스 북페어의 초청 연사였던 영화감독 데이먼 가뮤는 아이들에게 들려줄 새로운 이야기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수천 년 전 호주에 살았던 원주민은 스스로를 땅의 수호자라고 칭했고, 중국의 고대 문헌들을 보면 인간은 이 땅에 잠시 거주하는 손님들이라 여겼습니다. 이런 이야기가 가득한 세상에서 인간은 자연을 지키고 보호하는 존재였습니다. 그렇다면 자연에 대한 사랑과 생명 감수성이 가득한 이야기가 우리 세계를 이루고 있다면 어떨까요? 우리에게는 더 나은 이야기, 더 나은 서사가 필요합니다.

<인디고잉> 68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정의로운 선택의 기사 중 나는 대한민국 학생입니다에는 인디고 서원의 청소년들은 '대한민국 입시 경쟁 가담 자가 진단서를 만들어 대한민국 교육에서 스스로 어떤 학생인지 짧게 평가한 부분이 있습니다. “입시 교육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면서도 크게 거부하지 않는 학생이다”, “문제 의식이 있지만 적극적인 변화를 요구하지 않는, 입시 경쟁에 익숙해진 학생이다”, “잘못되었다는 것은 알지만 실제로 행동하지 못하는 겁쟁이다”, “비판하는 글을 쓰고 잘못된 점을 알지만 한편으로 경쟁에 뛰어드는 모순적인 학생이다”. 청소년들은 극심한 경쟁 교육 시스템 속에서 참 많이 상처 입고 있고, 그것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스스로를 자책하기도, 원망하기도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 아이들이 나는 대한민국 학생입니다라고 말하기란 참 어려운 일입니다. ‘’

단순히 한국 교육을 비판하고, 시험이 없기를, 경쟁이 없기를 바라는 것은 무의미한 가정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나는 왜 경쟁 교육을 견디고 있는지, 왜 어떤 사람들은 죽을 만큼 괴로운데 또 어떤 사람들은 괜찮은지, 그리고 우리가 앞으로 어떤 선택을 할 것인지 깊게 파고든다면, “경쟁이 없다면 우리는 어떤 모습일까?”의 질문에 더 간절하고 절실한 대답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경쟁하지 않을 자유가 있고, 생명의 존엄성을 가장 중요한 가치로 여기는 세계가 코로나19 시대를 끝내고 우리가 만들어야 할 지속가능한 미래의 모습입니다. <인디고잉> 68(2020년 가을)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정의로운 선택은 절망과 무기력의 고리를 끊고, 우리가 직면한 문제를 마주하며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지금 이 순간 최선의 선택이 무엇일지 고민하고 해내는 힘이 바로 인간의 가능성이자 희망임을 말하고자 합니다. <인디고잉> 68호를 읽고 함께 토론하고 실천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 Vol. 68 목차

 

꿈꾸지 않는 자는 청년이 아니다

청소년 칼럼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정의로운 선택 · 전태화

I’m dreaming 우리가 글을 쓰는 이유 · 임찬우

청소년에게 띄우는 그림편지 우리는 별 · 이호신

한 줄 사전 학생다움과 청소년다움의 뜻은 무엇인가요? · 김다민, 박시은, 정시우, 하아진



나를 만나다

나를 찾아가다 모두 함께 자유의 춤을 추자 · 김다민, 김예린, 이유진

학교의 슬픔 세상에서 가장 슬픈 세레머니 · 김숲

내가 만난 영원한 소년 어린이가 겪는 슬픔보다 더한 슬픔은 없다 · 정다은



세계와 소통하다

R통신 우리 교육의 티핑 포인트는 무엇입니까? · 김보민

나는 대한민국 학생입니다 · 이윤영

2040년 한국은 지금의 교육이 결정한다 · 인디고 연구소 InK

S통신 당신의 건강은 안녕하신가요? · 박시은, 김보민, 전태화

사서함 B612 서로에게 영감을 주기, 그것이 우정 지속의 법칙입니다 · 이윤영

모두에게 이로운 혁명 · 유진재



행복한 책읽기

인디고, 책을 말하다 용기 있고 정의로운 사자왕 되기 프로젝트 · 정다은

키워드, 시대와 소통하다 지속가능한 도시 꿈꾸기 · 전태화, 송현진, 이혜진

주제와 변주 시와 경제가 만나면 세상은 바뀔 것입니다 · 임찬우, 전태화

시와 노래의 이야기 떠나자! · 설흔

시로 읽는 경제 인식의 폭만큼 사는 것 · 김연

, 의 사원에서 즐겁게 소통하기 희망과 역사의 노래 · 유영종

PAPERS 모두를 위한 교육, 배움을 위한 학교 · 김보민

우리를 진정으로 움직이게 하는 것 · 전서영

INDIGO+ing 68호 함께 읽은 책들



더불어 실천하다

정세청세 희망은 우리가 직접 만든다 · 황철준

고통의 기원을 찾아서 고통의 기원은 인간이다 · 정시우, 김예린, 김보민

맑은 영혼이 자라는 지혜의 정원 사람을 구원하는 것은 · 김창수

에코토피아 뉴스 더 나은 세상을 위한 상상력 · 권지현

내 삶 안의 헌법 종을 넘어 함께 살기 · 송현진



사랑이 아니면 인생은 아무것도 아니야

인디고 시네마 파라디소 책읽기, 삶으로의 혁명 · 유진재

아름다운 아이들에게 공원이 있는 풍경 · 안경자, 이찬재

영혼을 바라보는 창 어느 자리의 주인공들 · 임종진

아름다움으로 가득한 어떤 밤 이 세상에 슬픈 아이가 한 명도 없기를 · 전태화

인디고 러브레터 희망을 지속가능하게 하라 · 이윤영

<인디고잉> 기자 편집 후기

이전글 한국폴리텍대학 김제캠퍼스 정보통신시스템과 신입생 모집
다음글 전북대학교 신문방송사에서 수험생을 위한 입시(수시) 호외신문을 제작하였습니다.